리눅스 터미널(CLI) 기본 명령어

★ 정말 자주 사용하는 명령어로 잊어버리지 말고 기억하고 반복학습 해야함 ★

 

 

 

 

1. init 0

시스템 종료시키는 명령어

 

 

 

 

 

 

2. cp 명령어를 이용한 다중 복사

사용법) cp [옵션] <원본경로1> <원본 경로2> ..... <붙여넣을경로>

다중으로 복사 붙여넣기 할 경우 이름변경은 불가능 함

 

 

 

 

 

 

2. mv 명령어를 이용한 다중 잘라내기 붙여넣기

사용법) mv <원본경로 및 디렉토리1> <원본 경로 및 디렉토리2> ..... <붙여넣을경로>

★ mv 명령어 작업할 때에는 원본 디렉토리와 옮겨질 디렉토리를 계속 확인해주기 ★

why? 원본자체가 옮겨지기 때문에 잃어버리면 찾지 못함

 

mv는 옵션없이 디렉토리 자체 이동이 가능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3. ★★ 와일드 카드 ★★

 *  : 모든 문자를 대체

 ?  : 한 문자를 대체

*은 모든 문자를 대체, *.cfg는 .cfg형식의 모든 것들을 의미

login* 은 login으로 시작하는 모든 것들을 의미

init???은 init 뒤에 3개 문자를 가진 모든 것들을 의미

*init* 이라고 작성하면 init이라는 단어가 포함된 모든 것들을 의미

*init 이라고 작성하면 init으로 끝나는 모든 것들을 의미

init* 이라고 작성하면 init으로 시작하는 모든 것들을 의미

* 만 사용하면 모든것들을 의미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4. rm

[ 파일 삭제, 파일들 삭제 ]

사용법) rm [-옵션] <삭제할 파일> <삭제할 파일> ..... <삭제할 파일>

/backup/ 디렉토리 내부의 모든 것을 삭제

rm 명령어 옵션
 # rm -r  rm 명령어는 디렉토리를 삭제할 수 없지만
-r 옵션으로 디렉토리도 삭제할 수 있게함
 # rm -f  rm 명령어 사용시 삭제 문구가 나오지만
-f (force : 강제적인) 옵션을 사용해 문구가 나오지 않고
삭제시켜버림
 # rm -rf  무엇이든지 묻지않고 삭제해버림
※ 아주 편리하지만 조심히 사용해야함 ※
※ 날리면 복구 불가 ※

 

 

 

 

 

 

4. ls -ld

[ 파일 및 디렉토리의 자체 속성정보 출력 ]

사용법) ls -ld <확인할 파일 및 디렉토리> <확인할 파일 및 디렉토리> ..... <확인할 파일 및 디렉토리>

ls -l 명령어로도 확인할 수 있지만 디렉토리의 내부 출력물 양이 너무 많을 경우 사용

-d 옵션 자체로는 의미가 없어서 -l 옵션이랑 같이 사용함

ls -l 명령어로 확인 가능하지만 디렉토리의 내부 출력물 양이 너무 많아 특정 디렉토리 및 파일의

속성만 확인하기 힘들 경우 특정 디렉토리 및 속성을 파악하기 위해 사용

 

 

 

 

 

 

앞으로 진행될 리눅스에 관한 내용은 VMware 16.2 버전 이상에서 돌릴 예정으로

VMware 업그레이드 시켜줘야 함

( VMware 업그레이드시 업그레이드 버튼 누르기 전에 VMware 끄고 진행하던가 아니면 재설치 할 것 )

728x90

'OS > Linux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08. alias  (0) 2022.12.06
07. 리눅스 명령어 도움말  (0) 2022.12.06
05. 리눅스의 디렉토리 구조  (0) 2022.11.23
04. CPU 가상화 활성화 설정 및 putty  (0) 2022.11.23
03. 리눅스 기본 명령어 2  (0) 2022.11.23

 

리눅스 터미널(CLI) 기본 명령어

★ 정말 자주 사용하는 명령어로 잊어버리지 말고 기억하고 반복학습 해야함 ★

 

 

 

 

1. ls 명령어 옵션

 

 

 

ls -l [확인하고 싶은 디렉터리의 경로]

[ 디렉터리의 자세한 목록을 확인하고 싶을때 사용]

※ 기존의 ls명령어로는 디렉터리 내부에 들어있는 하위 디렉터리 및 파일 이름만 나오지만,

-l 옵션을 붙이면 파일 및 디렉터리의 자세한 정보가 나옴

 

 

 

 

 

ls -a [확인하고 싶은 디렉터리의 경로]

[ 숨겨져 있는 디렉터리 혹은 파일들을 모두 출력, 윈도우의 숨김파일 보는 기능이랑 같음 ]

※ .baxh_logout, .bash_profile과 같이 앞에 .이 붙어있으면 숨김파일

 

 

 

 

 

ls -l -a , ls -a -l , ls -al , ls -la

[ 명령어 옵션들을 섞어서 사용 가능 ]

ls -l -a
ls -a -l
ls -al
ls -la

※ 섞어서 사용할때 순서가 바뀌어도 결과 값은 모두 동일

 

 

 

 

 

ls -d [확인하고 싶은 디렉터리의 경로]

[ 지정한 디렉터리 혹은 파일의 자체 정보를 확인 ]

★ ls -d와 함께 사용, ls -ld 같이 ★

※ l 옵션과 같이 쓰는 이유는 d옵션만 쓰면 간단한 정보만 나오기 때문에 l 옵션을 넣어서 상세한 정보를 알기위해 사용

ls -d ls -ld
[root@localhost home]# ls -d /home/kgitbank
/home/kgitbank
[root@localhost home]# ls -ld /home/kgitbank
drwx------. 5 kgitbank kgitbank 101 10 23 09:35 /home/kgitbank

 

 

 

 

 

 

ls -R [확인하고 싶은 디렉터리의 경로]

[ 지정한 디렉터리 하위의 모든 파일과 디렉터리를 출력 ]

★ ls -l와 함께 사용, ls -lR 같이 ★

※ l 옵션과 같이쓰는 이유는 R옵션만 사용하면 하위의 파일 및 디렉터리가 간단하게 출력되기 때문에 l 옵션을 넣어서

상세한 정보를 출력하기 위해 같이 사용

ls -R

 

 

 

 

 

[ ls 옵션 ] - 순서대로 많이 사용 ( 필수로 암기 )

 

ls -l > 디렉터리의 내부의 자세한 목록 확인

ls -a > 숨겨져 있는 디렉터리 혹은 파일들을 모두 출력

ls -d > 지정한 디렉터리 혹은 파일의 정보를 확인

ls -R > 지정한 디렉터리 하위에 모든 파일과 디렉터리를 출력

 

 

 

ls 명령어의 옵션
ls -l ls -l [ 대상 디렉토리 ] 디렉토리 내부의 상세한 내용을 출력
ls -a ls -a [ 대상 디렉토리 ] 디렉토리 내부의 숨겨진 내용까지 출력
ls -d ls -d [ 대상 디렉토리 및 파일 ] 지정한 디렉토리 혹은 파일 자체의 정보를
확인
( 소유권 및 허가권 확인을 위해 -l 옵션과
  같이 사용됨 )
ls -R ls -R [ 대상 디렉토리 ] 지정한 디렉토리 하위에 모든 파일과
디렉토리를 출력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2. cp - Copy

[ 파일이나 디렉터리를 복사 하는 명령어, 윈도우의 복사 붙여넣기 ]

사용법) cp [-옵션] [복사할 파일 혹은 디렉터리 경로] [붙여넣기 할 경로]

cp [-옵션] [복사할 파일 혹은 디렉토리] [붙여넣기 할 경로/변경할 이름]

grub.cfg 파일을 grub.conf로 이름 변경하여 복사 붙여넣기
cp -r [복사할 파일 혹은 디렉토리] [붙여넣기 할 경로/변경할 이름]

cp 명령어 사용 시 복사하고자 하는 디렉토리 내부에 파일이 생성되어 있는 경우 omitting directory 문구가 출력됨
위의 경우 -r 옵션 사용하여 디렉토리 하위의 파일 및 디렉토리까지 전부 복사 붙여넣기 하면 됨

 

 

 

 

 

 

3. mv - Move

[ 파일이나 디렉터리를 지정한 경로로 이동시키는 명령어, 윈도우의 잘라내기 붙여넣기 ]

사용법) mv [-옵션] [복사할 파일 혹은 디렉터리 경로] [붙여넣기 할 경로]

mv [-옵션] [잘라낼 파일 혹은 디렉토리] [붙여넣기 할 경로/변경할 이름]

/backup/ 디렉토리에 있는 login.defs 파일을 잘라내서 /home/ 디렉토리 내부에 login으로 이름바꿔 붙여넣기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4. mkdir - Make directory

[ 빈 디렉토리를 생성하는 명령어 ]

사용법) mkdir [-옵션] [만들고 싶은 디렉토리 경로/디렉토리 이름/]

mkdir [-옵션] [만들고 싶은 디렉토리 경로/디렉토리 이름/]

/home/kgitbank/ 디렉토리 하위에 test1 디렉토리를 생성
mkdir -p [만들고 싶은 디렉토리 경로/디렉토리 이름/]



/home/kgitbank/test1/ 까지는 경로가 생성되어 있지만 /test2/ 디렉토리는 생성되어 있지 않은 상태
-p 옵션 없이 생성하게되면 생성되는 경로 안에 /test2/ 디렉토리가 없기 때문에 오류메세지가 출력됨

-p (parents) 옵션을 넣어 디렉토리 생성 시 중간 경로가 없다면 경로를 생성해서 최하위 디렉토리까지 생성함
( 즉, 부모 디렉토리가 존재하지 않는다면 같이 생성된다는 의미의 옵션 )

 

728x90

'OS > Linux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06. 리눅스 기본 명령어 3  (0) 2022.11.23
05. 리눅스의 디렉토리 구조  (0) 2022.11.23
04. CPU 가상화 활성화 설정 및 putty  (0) 2022.11.23
02. 리눅스 기본 명령어 1  (0) 2022.10.31
01. Linux 설치  (0) 2022.10.31

+ Recent posts