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
IT통합기초

(6)
06. 배치 파일 기초 배치파일이란? ① MS-DOS, OS/2, 윈도우에서 쓰이는 배치 파일(batch file)은 명령 인터프리터에 의해 실행되게끔 고안된 명령어들이 나열되어 있는 텍스트 파일이다. ② 배치 파일이 실행될 때, COMMAND.COM 또는 cmd.exe와 같은 셸 프로그램이 파일을 읽어 명령어를 줄 단위로 실행한다. 배치 파일로 무한 부팅 파일 만들기 ★ Win10에서는 절대로 하지 말 것, 복구하기 힘듦 ★ ★ 가상머신 내의 Win7에서만 실행할 것★ 1) Guest OS(Win7)에서 Win + E 눌러서 C드라이브로 들어간 뒤 Win키 누른 후 명령 프롬포트를 검색하여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한다. 2) cmd(관리자 권한) 창에서 명령어 입력하기 Microsoft Windows [Version 6.1.76..
05. Snapshot 사용 및 Win10 설치 Snapshot을 찍는 이유 1) 특정 지정을 저장해 놓고 저장해 놓은 일정 시점으로 다시 돌아가기 위해 사용 ※ Snapshot을 너무 많이 찍으면 Host OS에 무리가 감 ※ Snapshot 찍는방법 1) 번호 순서대로 눌러주면 Snapshot 저장 완료 Snapshot 사용방법 1) 2) 위의 에러창 확인 눌러줘야 함 3) Snapshot을 사용해서 저장 시점으로 돌아온 화면 VMware에서 저장해놓은 가상머신 불러오기 1) Open a Virtual Machine 클릭 후 가상머신이 들어가 있는 폴더 경로로 들어가 저장된 VMX형식의 가상머신 클릭 후 열기 Custum 방식으로 가상머신 생성 (Win10 설치 해볼거임) 1) 2) 가상머신 생성 시 저장되는 버전 선택 : Workstation 1..
04. VMware 설치 (Win7) 및 VMware Tools 설치 1. VMware16 (Win7) 설치 1) VMware-workstation-full-16.1.2-17966106.exe 실행 2) 라이센스 동의만 체크 후 계속 Next 누르다가 Install 클릭 후 설치 3) 설치 완료창 나오면 finish 말고 라이센스 눌러서 시리얼키(SN16.txt) 입력 후 Enter 클릭 > finish 클릭 4) 바탕화면의 VMware Workstation pro 실행 5) 6) 가상머신 새로 만들기 / 불러오기 / 다른 컴퓨터에서 불러오기 7) 메인화면에서 6)의 창이 나오지 않으면 VMware의 상단 Tabs 클릭 후 Go to home tab 클릭 8) Typical(일반 타입) - 사용자가 꼭 선택해야 하는 부분만 작성 및 선택 Custum(사용자 지정 타입) -..
03. VMware 설치 전 주의사항 및 권장 사양 VMware란? > VMware는 가상화 프로그램으로 가상 머신(컴퓨터)을 만들어 다양한 OS를 학습 가능하게 해주는 프로그램 ※ 가상화? : 물리적 컴퓨팅 자원을 논리적으로 나누는 기술 ※ VMware 설치 후 단계 : 1단계(VMware 설치) > 2단계(가상 머신 구성) > 3단계(운영체제 설치) VMware 홈페이지 : https://www.vmware.com/ Introducing VMware Cross-Cloud Services Discover how VMware Cross-Cloud services give organizations freedom and control without trade-offs. www.vmware.com ※VMware 설치 전 주의사항※ 1. VMware버전 정보를 ..
02. 시스템(컴퓨터)의 구성 시스템이란? > 어떤 업무를 수행하기 위한 기계적인 요소의 집합체 = 컴퓨터 1. 하드웨어 : 컴퓨터를 구성하는 모든 기계 장치를 통틀어 이르는 말 1) 입력장치 : 데이터의 처리를 위해 컴퓨터의 처리장치에 데이터를 주는 장치 (EX : 마우스, 키보드, 스캐너, 마이크 등) 2) 제어/연산 장치 : 데이터를 제어하고 연산을 수행, 처리하는데 필요한 장치 = CPU ( CPU는 프로세서라고도 부름, 프로세스랑 혼동하지 말기 ) CPU의 동작과정 1+1 입력 ▽ Bus interface (데이터가 지나가는 통로) ▽ Register (임시 기억장치, 임시로 1+1을 기억) ▽ ALU (연산장치, 1+1을 계산하여 2를 도출) ▽ Control Unit (제어장치, 오류가 없는지 확인) ▽ ALU ▽ Reg..
01. IT(Information Technology)의 이해 IT(Information Technology, 1980~2000 초) - 정보를 생산해서 저장 및 처리 ICT(Information Communication Technology, 현재) - 정보를 생산해서 저장 및 처리하고 공유까지 하는 것 ※ 네트워크의 발달로 IT > ICT로 생산, 저장, 처리 하는 것에서 공유하는 것 까지 추가 ※ 1. 빅데이터 : 기존의 시스템으로는 수집, 저장, 분석 따위를 수행하기가 불가능할 만큼 방대한 양의 데이터 ① 빅데이터 기술 : 방대한 양의 빅데이터를 가지고 원하는 것을 만들어내는 기술 (EX : google사의 Flue trend technology) ② 빅데이터를 활용한 프로그램 1) 퀵드로우 (인공지능이 빅데이터를 바탕으로 낙서를 맞추는 프로그램) 2) 오토드..

728x90