IOC, DI ( Dependency Injection )
IOC : 객체들을 저장하고 있는 틀
( 기존에는 new 연산을 사용해서 객체를 사용했으나, 스프링에서는 new 연산을 사용하지 않고 특정 객체를 미리 만들어 특정 저장소에 저장해둔 뒤 객체를 꺼내서 사용한다, 이때 객체를 저장하고 있는 틀이 IOC 이다 )
DI : 의존관계 주입 기능
( 객체를 만들었을때 또 다른 객체와 연결되어 잇는 경우 의존 관계가 있다 )
ex) 칼이라는 객체가 있다.... 또 주방장이라는 객체가 있는데 주방장이라는 객체는 칼이 있어야 요리를 할 수 있으므로 주방장 객체는 칼에 대한 의존 관계이다.
xml 파일을 통해 객체를 만들어 사용하는 방법
STBean 에서 변수를 생성 후 Student 클래스의 객체를 생성하여 안의 메소드를 사용 > 즉, STBean 이 객체를 연결시켜주는 DI 역할을 한다 ( 기존에 자바를 사용하던 방식 )
이제는 스프링에서 사용하는 DI 형태를 사용할 것임
이제 MainClass 에서 해당하는 값을 꺼내와서 사용할 것임
실습 예제
예제 풀이
'BE > Spring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Spring] MVC2 모델 (1) | 2024.05.07 |
---|---|
[Spring] 인코딩 설정, 포트 에러, Context 에러(경로 충돌 에러), 경로 설정, Controller (0) | 2024.05.07 |
[Spring] Interface (0) | 2024.05.07 |
[Spring] 외부 파일에 변수 설정하여 사용하기, ArrayList, HashMap (0) | 2024.05.07 |
[Spring] 설치 및 프로젝트 생성 시 오류 설정 (0) | 2024.05.02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