JAVA 자동 형변환
- 서로 다른 타입을 연산할 때 반생하는 형변환 (= 데이터 타입 변환)
- 데이터 크기가 작은 타입이 큰 타입으로 변경되어 처리된다.
package output;
public class AutoCasting {
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 {
// 자동 형변환
// - 서로 다른 타입을 연산할 때 발생하는 형변환 (= 데이터 타입 변환)
// - 작은 타입이 큰 타입으로 변경된다
System.out.println(10 + 7.5);
// 정수 + 실수 --> 원래는 서로 다른 타입이라 연산이 불가능
System.out.println(10.0 + 7.5);
// 실수 + 실수 --> 실수
// 타입이 같으면 연산 가능
// 즉, 정수와 실수를 연산하면 원래는 불가능하지만
// 자동형변환에 의해서 작은 타입인 정수가 실수형으로 자동 형변환 되어 연산된다
// 10 + 7.5 --> 10.0 + 7.5
System.out.println(10 / 7);
// 콘솔에 1 출력됨
// 정수 / 정수 --> 정수
// 타입이 같아서 자동 형변환이 발생하지 않음
System.out.println(10 / 7.0);
// 콘솔에 1.4285714285714286 출력됨
// 정수 / 실수 --> 정수가 실수로 자동 형변환 된 후 계산됨
// 자료형 크기 비교 : 문자열 > 실수 > 정수
// - 자바는 문자열 이어 붙이기로 데이터를 자주 출력한다.
System.out.println("10" + "5");
// 콘솔에 105 출력
System.out.println("10" + 5);
// 콘솔에 105 출력
// 5 -> "5"로 자동 형변환
}
}
728x90
'BE > JAVA' 카테고리의 다른 글
07. JAVA 변수와 자료형 (0) | 2023.11.09 |
---|---|
06. JAVA 이스케이프 문자(escape sequence) (2) | 2023.11.09 |
04. JAVA 자료형 (0) | 2023.11.09 |
03. JAVA 코드 자동 완성 단축키 (0) | 2023.11.09 |
02. JAVA 주석 (0) | 2023.11.09 |